[리스트]
시퀀스이자 변경 가능한 목록이다.
입력 순서가 유지되며, 내부적으로는 동적 배열로 구현되어 있다.
[리스트의 활용 방법]
선언: a = list() 또는 a = []
추가:
(1) a.append(4)를 통해서 맨 뒤에 추가 할 수 있다.
(2) a.insert()함수를 사용하면 특정 위치의 인덱스를 지정해서 요소를 추가 할수 있다. a.insert(3,5)는 a의 리스트 에 3번째 위치에 5를 삽입한다는 의미이며,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.
인덱스 슬라이싱:
(1) a[1:3]이라고 하면, 인덱스 1부터 3 이전까지의 인덱스 값을 가져 오는 것이다.
(2) a[4:]은 인덱스 4부터 끝까지 가져오라는 의미이다.
(3) 여기서 세번째 파라미터를 부여하면 step의 의미이다.
(4) a[1:4:2]라고 쓰면, 1부터 4이전까지의 인덱스를 두칸씩 뛰며 가져오는것이다.
삭제:
(1)인덱스로 삭제하기: del a[1] (해당 인덱스 지우기)
(2)값으로 삭제하기: a.remove(3) (해당 값 지우기)
(3)스택 연산처럼: a.pop(3) (삭제될 값은 리턴해서 a에는 3을 지운 값이 남아있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