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Bool]

엄밀히 따지면 논리 자료형인다. 파이썬에서는 내부적으로 1(True)와 0(False)으로 처리되는 int의 서브 클래스이다. int는 object의 하위 클래스이기도 하기 때문에 결국 다음과 같은 구조를 띈다.

object > int > bool

True == 1을 실행하면 True가 뜸을 확인하고, 논리자료형이 내부적으로는 정수값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.

[int]

BigInteger라는 자료형을 자바의 경우 지원해서 정밀 연산을 수행하지만, python의 경우 자동으로 수행해준다.

[Maaping]

키와 자료형으로 구성된 복합 자료형이다. 딕셔너리가 이 역할을 한다.

[집합]

set은 중복을 가지지 않는 자료형이다.

#빈 집합 선언
a = set()
#집합 선언
a = {'a', 'b', 'c'}

[시퀀스]

str은 문자의 순서 있는 나열로 문자열을 이루는 자료형이며,

list는 다양한 값들을 배열 형태의 순서 있는 나열로 구성하는 자료형이다.

파이썬에서는 list라는 시퀀스 타입이 사실상 배열의 역할을 수행한다.

불변값: str,tuple, bytes